복주머니
본문 바로가기

청년공제시 기업에서 부담하는 금액이 있나요?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시 기업에서 부담하는 금액이 있을까요? 없습니다. ■ 기업 지원금(채용유지지원금) ○ 지원대상 - 청년공제 가입자격을 갖춘 기업으로서, 중진공 청약신청 및 청약 승낙일로부터 청년공제 가입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* * 기업 :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·중견기업으로 만 15~34세의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, 만약 가입중에는 다른 직원이 퇴사해서 5인미만이 되어도 계속 유지가 가능합니다. ○ 지원조건 - 지원대상 기업은 청약승낙일(공제계약 성립일)로부터 2년간, 3년간 지원대상 청년 고용유지 ('18.3.15. 이후 정규직 취업자로서, '18.6.1.이후 청년공제 신청자부터 적용되며, 그 전에 신청자는 정규직 취업(채용)일부터 입니다.)('18.6.1. 개정사항) ○ 2년형.. 더보기
회사에서 수습기간 이면 정규직?? 비정규직?? [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요건] 청년이 가입할수 있는 상품중에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있습니다. 본인이 125,000원씩 매월 2년간 납부하면, 정부에서 1300만원 지원해서 2년후에 1600만원을 받는 2년형과 , 본인이 165,000원씩 매월 3년간 납부하고 정부에서 2400만원 지원받아 3년후에 3000만원을 받는 3년형이 있습니다. 가입 할 수만 있다면 이런 좋은 기회가 어디 있겠어요? 확인해 보시고 가입해서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. 지원 요건중 하나가 정규직으로 채용되어야 하는 요건이 있습니다. 보통 사업장에서 새로 입사한 청년이 그 사업장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습기간을 두고 있습니다. 그런데, 그 수습이라고 해서 무조건 비정규직이 아닙니다. 사업장에서 정규직으로 채용을 하고 기업 자체적.. 더보기
퇴사하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 확인해봅시다 1. 실업급여 수급요건 ① 이직(퇴사)일 이전 18개월간(기준기간) 피보험단위기간(고용보험가입된 기간)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일 것 ※ 피보험단위기간 : 피보험기간 중 보수지급의 기초가 된 날을 뜻함 ②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을 것 ③ 부득이한 경우로 인한 비자발적 퇴사일 것 ※ 단, 법에서 정한 중대한 귀책사유로 해고된 경우는 수급자격 인정 불가 - 형법 또는 직무와 관련된 법률을 위반하여 `금고 이상의 형`을 선고받아 해고된 경우 -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여 해고된 경우 - 정당한 사유 없이 근로계약 또는 취업규칙을 위반하여 장기간 무단결근하여 해고된 경우 - 중대한 귀책사유가 있는 자.. 더보기
내일 청년구직활동 지원금 워크넷(고용노동부)에 신청하자!!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이란? -스스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(미취업 청년의 자기주도적 구직활동 지원)에게 월 50만원씩 최대 6개월 간 지원 = 아래의 내용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들을 지원합니다. = 연령 :- 만 18세 ~ 34세 학력 :- 고등학교, 대학교, 대학원 졸업 또는 중퇴 후 2년 이내 - 자격 인정(예) - ① 고등학교 검정고시(검정고시 합격일이 졸업일) - ② 병역기간은 졸업·중퇴 후 기간 산정에서 차감 (최대 만 5년) 지역인재 - 고등학교 졸업 6개월 후 군입대하여 18개월 복무 후 제대 시, 졸업 후 기간은 6개월인 것으로 간주 - ‘17년 2월 졸업후 ’19년 3월 바로 신청지역인재 졸업 경과 일자 산정 - ‘19년 1~2월에 졸업 또는 중퇴한 지 2년 이내인 경우 ’19년 3월에 신청(사.. 더보기
청년내일채움공제(가입자격 및 절차) ■청년내일채움공제란?○ 중소·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하여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 ○ 청년·기업·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여 2년 또는 3년간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만기공제금 지급 [청년] 지원내용청년2년형청년 본인이 2년간 300만원(매월 12만 5천원)을 적립하면 정부(취업지원금 900만원)와 기업(400만원, 정부지원)이 공동 적립→ 2년 후 만기공제금 1,600만원+이자 수령3년형청년 본인이 3년간 600만원(매월 16만 5천원)을 적립하면 정부(취업지원금 1,800만원)와 기업(600만원, 정부지원)이 공동 적립→ 3년 후 만기공제금 3,000만원+이자 수령 2,3년형 기업기여금(400만원, 600만원)모두 정부에서 지원하기.. 더보기